본문 바로가기
미스테리,사건사고

탑승자의 부모님도 보는 도중 폭발한 챌린저 우주왕복선 폭발 사고

by CleanHub 2023. 4. 22.
반응형

챌린저 우주왕복선 폭발사고(宇宙往復船爆發事故, 우주왕복선 챌린저호 참사)는 1986년 1월 28일 미국 우주왕복선 챌린저호가 고체 연료 추진기 고장으로 이륙 후 73초 만에 폭발하여 승무원 7명이 사망한 사건입니다. 챌린저호는 열 번째 임무인 STS-51-L을 수행하기 위해 막 발사된 상태였습니다. 이 사고로 탑승한 승무원 7명 전원이 목숨을 잃었고 4,865억 달러의 재정적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STS-51-L 임무의 목표

TDRS-B 우주선의 궤도 삽입 - 주요 목표

할리 혜성 관측 - 맥네어가 수행합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우주에서 원격으로 학교 수업을 진행하는 우주 교사 이니셔티브의 구현 - 맥컬리프가 수행할 예정이었습니다.

기타 과학 실험

우주에서 색소폰 연주 - 공식적인 목표는 아니었지만, 맥네어와 개인적인 친분이 있던 작곡가 로셸 자레의 협업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발사 전

당초 1월 22일로 예정되었던 발사는 1월 23일로 연기되었다가 다른 발사(STS-61-C)로 인해 1월 24일로 다시 연기되었습니다.

이후 예정된 착륙 지점의 악천후로 인해 25일로 연기되었습니다.

그런 다음 발사 장소(케네디 우주 센터)의 악천후로 인해 1월 27일 오전 9시 53분으로 일정이 변경되었습니다.

챌린저호의 동체에 대한 추가 정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발사는 28일로 미뤄질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28일에 발사하기에는 너무 춥다고 말하지만 NASA는 더 이상 연기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발사 당일

-6.6초: 챌린저호의 메인 엔진 점화.

0초: 발사.

+0.678초: 오른쪽 보조 추진체(고체 로켓 부스터 또는 SRB) 아래쪽에서 검은 연기가 보입니다.

+2.273초: 연기가 더 이상 뿜어져 나오지 않습니다.

+3.375초: 연기가 확산되어 더 이상 보이지 않습니다.

+28초: 주 엔진의 출력을 줄여 궤도를 수정했습니다.

+35.379초: 주 엔진 출력을 65%까지 높여 마하 1을 돌파했습니다.

반응형

2023.04.22 - [미스테리,사건사고] - 일본열도를 경악케 했던, 오타쿠 히키코모리 살인마 미야자키 츠토무 사건

 

일본열도를 경악케 했던, 오타쿠 히키코모리 살인마 미야자키 츠토무 사건

1962년 8월 21일에 도쿄도 니시타마군(현, 아키루노시) 이쓰카이치정의 신문사 사주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2명의 누나가 있었다. 증조부는 촌회의원, 할아버지는 정회의원 등 지방의원을 지냈다.

cleanhub.tistory.com

+51.860초: 최대 Q(최고 압력 지점)에 도달했습니다.

+58.788초: 오른쪽 SRB 하단에 스파크가 보임. 이는 나중에 로그 판독을 통해 확인되었으며 당시에는 챌린저 선상이나 휴스턴의 미션 컨트롤에서도 인식하지 못했습니다.

+1 분 0.238 초: 화염이 SRB와 외부 연료 탱크(ET) 사이의 연결부로 이동했습니다.

+1분 4.660초: ET의 액체 수소 탱크에서 수소가 누출됨.

+1분 6.764초: ET 수소 탱크의 압력 강하가 확인됨.

+1분 8초: 미션 컨트롤에서 챌린저에게 출력을 높이라고 지시합니다.

+1 분 12.284 초: 우측 SRB가 갑자기 바깥쪽으로 밀리는 것이 관찰됩니다.

+1분 12.525초: 사후 분석 결과 우측 SRB가 갑자기 가속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기내 승무원이 감지했을 수 있습니다.

+1분 13.025초: 조종실 CCTV 기록의 마지막 부분에는 스미스 기장이 계기판을 보며 "어머"라고 반응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그는 주 엔진의 상태와 ET 압력 강하에 대해 혼란스러워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1:13.124: ET의 수소 탱크 위의 돔이 깨져 산소 탱크로 미끄러집니다. 동시에 오른쪽 SRB가 전방 연결부 쪽으로 다시 돌아와 ET에 부딪힙니다.

사고 원인

사고의 원인은 우측 SRB의 고무로 된 O-링(간단히 말해 고무 패킹)이 추운 날씨에 얼어붙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우주왕복선 고체 로켓 부스터를 설계하고 제작한 모튼 시오콜사의 숙련된 고무 오링 기술자는 NASA와의 발사 전 회의에서 극도로 낮은 기온으로 인해 오링이 얼어 제 역할을 하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발사 취소 또는 일정 변경을 거듭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NASA와 시오콜의 고위 관리자들은 이를 무시하고 발사를 강행했습니다.

그 결과 챌린저 우주왕복선에 장착된 SRB의 오링은 낮은 온도로 인해 탄성이 없어졌고, 오링을 통해 누출된 뜨거운 고압 연료가 발사 후 점화되었습니다. SRB는 이륙 후 2분 후에 분리되어 2분 정도 더 버틸 수 있었지만 SRB의 화염이 외부 탱크(ET) 바닥의 액체 수소 연료로 퍼져 폭발했습니다. 그 결과 발생한 뜨거운 고압 연기로 인해 챌린저호 동체는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공중에서 분해되었습니다. 이후 대통령 직속의 사고 원인 분석 위원회는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먼이 위원장을 맡았습니다.

사고의 영향

우주왕복선 운항이 중단되었습니다. 약 2년 8개월 후 STS-26(영어, 1988년 9월 29일 발사, 디스커버리)에서 운항이 재개되었습니다.

희생자들의 이름을 딴 학교, 도로, 건물이 생겨났고 달의 분화구와 소행성에도 그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특히 학자였던 맥네어와 교사였던 맥컬리프의 이름을 따서 학교 이름을 바꾼 학교가 많았습니다.

비영리 교육 재단인 챌린저 재단은 승무원 생존자들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이 재단은 미국과 해외에 약 60개의 우주 과학 교육 센터(EN)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중 3곳은 미국 외 지역에, 1곳은 한국 양주 송암 천문대에 위치해 있습니다.

1990년에는 영화로도 제작되었습니다. 영화(영어)는 STS-51-L 임무의 발사와 함께 끝납니다.

영화 (en) 이후 제거되었던 우주왕복선의 승무원 탈출 장치가 다시 설계되어 설치되었습니다. 이는 잔해가 바다에 떨어질 때까지 최소 두 명의 승무원(오니즈카, 레스닉)이 살아남았다는 사실이 발견되었기 때문입니다.

#챌린저호폭발 #챌린저우주왕복선폭발 #우주왕복선 #인공위성 #우주 #전원사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