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금한이야기

여성 인권 운동가 김대중 전대통령 영부인 이희호 여사의 생애

by CleanHub 2023. 11. 12.
반응형
반응형

여성운동가인 이희호는 대한민국의 제15대 대통령인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배우자로서, 미국에서의 유학 경험과 국내에서의 활동으로 여성가족부 설립과 한국 여성의 인권 향상에 중요한 기여를 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8-su1KCGXE&pp=ygUT7J207Z2s7Zi4IOyduO2EsOu3sA%3D%3D

이희호는 부유한 환경에서 자라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이화여자전문학교, 서울대학교를 거쳐 미국에서 램버스 대학교와 스칼렛 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한 엘리트였습니다.

 

2019년 6월 10일에 숙환으로 사망한 이희호는 대한민국 대통령 배우자 중 장수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홍기가 사망한 지 15년 만에 대통령 배우자로서 돌아가셨습니다.

2023.10.23 - [궁금한이야기] - 1979년 궁정동 10.26 사건  박정희 대통령 살인사건 김재규 최후진술 차지철

 

1979년 궁정동 10.26 사건  박정희 대통령 살인사건 김재규 최후진술 차지철

1979년 10월 26일 저녁 7시 40분경, 서울특별시 종로구 궁정동 중앙정보부 안전가옥 2층 연회장에서 발생한 사건은 김재규 중앙정보부장과 경호원들이 박정희 대통령과 차지철 대통령 경호실장 등

cleanhub.tistory.com

이희호는 6남 2녀 가운데 장녀로 태어나 부유한 가정에서 자랐으며, 모친의 교육 열정에 영향을 받아 여성 교육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고등학교 시절 모친의 사망으로 큰 충격을 받았지만, 이를 계기로 여성의 삶과 권리에 대한 고민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모친의 뜻을 이어받아 결혼을 꺼리고 건강과 공부에 집중하기로 결심했습니다.

 

1942년 이화여자전문학교에 입학하려 했지만 일제 강점기의 영향으로 졸업하지 못하고 해방을 맞이했습니다. 그 후 여자청년연성소 지도원으로 일하며 여성의 역할과 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였고, 1946년에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으로 돌아가 영문학을 전공했습니다.

이희호 여사
이희호 여사

이후 교육학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한국전쟁 발발 전에는 조선민족청년단에 참여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습니다. 일제 강점기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교육 수준을 갖춘 이희호는 여성들에게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그 미덕을 실천했습니다.

 

서울대학교에서의 재학 시절, 여성 학생으로서 편견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이희호는 활발하고 적극적인 성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총학생회에서 사범대학 대표와 사범대 학도호국단 부단장을 맡아 전통적인 여성상을 벗어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이로 인해 교내에서는 '다스'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이희호는 동기들에게 자신의 이름을 재치 있게 소개하며 항상 웃음을 주었습니다. 또한 연극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대학교 1학년 때에는 연극 <Foolish>에서 시나리오를 쓰고 주연을 맡고 연출까지 담당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활동으로 항상 활기찬 모습을 보였습니다.

2023.10.23 - [궁금한이야기] - 5.16 군사정변과 박정희 전 대통령 5대 대통령 취임기간의 사건들

 

5.16 군사정변과 박정희 전 대통령 5대 대통령 취임기간의 사건들

1961년 5월 16일, 박정희는 군사정변을 주도하였습니다. 이 군사정변은 대한민국 제2야전군과 제1야전군의 일부를 포함한 여러 군부대가 대한민국 정부와 시설을 장악하기 위해 이탈하여 이루어

cleanhub.tistory.com

대학을 졸업한 후에는 한국전쟁 발발로 인해 피난길에서도 여성운동에 적극 참여하였습니다. 대한여자청년단과 여성문제연구원을 창설하고 여성운동가로 활동하면서 국내 여성운동사의 초석을 다졌습니다. 특히, 여성문제연구원에서는 2대 회장을 맡아 여성운동에 지속적으로 기여했습니다.

 

미국 유학 중에는 미국 감리교 교회의 지원을 받아 생활하며, 램버스 대학에서 사회학 학사를 취득하고 스카릿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얻었습니다. 귀국 후에는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강사로 재직하면서 여성운동과 교육에 기여하였습니다.

 

1962년에는 김대중과 결혼하여 국내 정치인과의 연인으로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치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김대중과의 둘 사이에서도 여성 운동과 가정을 동시에 이끌어 나갔습니다.

 

이희호가 김대중과 2살 차이로 결혼할 때, 여성계 선배들은 그녀의 미국 유학 경험과 초엘리트 여성운동가로서의 업적을 고려해 아쉬워했습니다. YWCA 선배들은 눈물을 흘리며 왜 그녀가 김대중의 초라한 삶에 인생을 맡기는지 물었습니다. 이에 대한 이희호의 답은 "잘생겼잖아요"였습니다.

 

사실 이희호는 김대중 이전에는 민주운동가 계훈제와 결혼할 계획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계훈제의 투옥 생활과 폐결핵으로 인해 해외 유학 결정을 하게 되고, 죄책감에 시달렸다고 고백했습니다.

 

김대중이 군부의 탄압을 받으면서 여성운동 활동을 접어야 했을 때, 이희호는 남편을 도와 그의 고난과 싸움에 동참했습니다. 김대중의 대통령 취임 이후에도 소외계층 복지와 정책감시에 참여하면서 여성권익 향상을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았습니다.

2023.10.23 - [궁금한이야기] - 5.16 군사정변 전 까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일생과 경력 영상 생전 육성

 

5.16 군사정변 전 까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일생과 경력 영상 생전 육성

박정희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었으며, 1917년 11월 14일에 경상북도 구미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부모는 효력부위를 지낸 농민인 박성빈과 백남의 부부였습니다. 박정희는 5남 2녀

cleanhub.tistory.com

2011년 김정일 사망 당시 북한 방문에 대한 논란이 있었는데, 이는 김대중 대통령 사망 당시와 관련이 있었으며, 당시 현대그룹 회장인 현정은과 함께 조문을 했습니다.

 

2018년에는 남북정상회담 이후 문재인 전 대통령에게 노벨평화상을 바라는 덕담을 전하였지만, 이는 실현되지 않았습니다. 이희호는 여성운동가로서의 초심을 잃지 않고, 남편의 정치적인 고난에도 함께 힘을 보태며 여러 활동을 펼쳤습니다.

 

2019년 6월 10일에 96세로 세상을 떠나면서 이희호는 유언으로 "하늘나라에서 국민들과 민족의 평화통일을 위해 기도하겠다"는 말을 남겼습니다. 그녀의 장례는 국립서울현충원에 있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묘역에 합장되었습니다.

 

 

 

#이희호 #이희호김대중 #김대중 #이희호닥터드레 #이희호전남편 #이희호재혼 #이희호사망 #이희호여성운동 #페미니즘 #페미니스트

반응형